querydsl
![20221002_WIL(실전 프로젝트 6주차 회고 및 검색 메서드 리팩터링)](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bBdYWS%2FbtrNHUjypim%2FGjosJA5svUebe1yVsIclX1%2Fimg.gif)
20221002_WIL(실전 프로젝트 6주차 회고 및 검색 메서드 리팩터링)
20221002_WIL(실전 프로젝트 6주차 회고 및 검색 메서드 리팩터링) 들어가며 이제 차주 금요일이면 최종 발표로써 그간 열심히 달려왔던 실전 프로젝트 일정도 마무리가 된다. 오늘은 금주 진행하였던 검색 메서드 리팩터링 과정을 정리해보고자 한다. 검색 메서드 리팩터링(Full Text Index를 바탕으로) ItemRepository - 상품 검색 메서드 /** * 상품 기본 검색 - 최신순 정렬 */ @Query("select i from Item i " + "where i.title like %:keyword% or i.content like %:keyword% or " + "i.itemCategory like %:keyword% or i.petCategory like %:keyword% " +..
![실전프로젝트 5주차(Query 메서드 리팩터링 feat.QueryDSL)](https://img1.daumcdn.net/thumb/R750x0/?scode=mtistory2&fname=https%3A%2F%2Fblog.kakaocdn.net%2Fdn%2FdTEb3F%2FbtrMUgIOlmQ%2FK6VJTkqAFCIkhJlFGPjWyk%2Fimg.png)
실전프로젝트 5주차(Query 메서드 리팩터링 feat.QueryDSL)
Query 메서드 리팩터링 지난 토요일 중간발표를 통해 나의 현 위치를 인지할 수 있었다. 어찌어찌 기능 구현은 가능하지만 그 기능이 어떻게 구현된 것인지, 정확히 어떤 기술들을 사용하여 기능을 구현한 것인지에 대한 명확한 설명이 불가하였다. 특히 기존에 작성한 코드의 경우 JPA, JPQL, Native Query 등을 무분별하게 혼재하여 사용하였는데 이렇게 했을 때 어떠한 문제가 발생하는지, 어떠한 이점이 있는지 조차 모르고 있었다. JPA, JPQL은 지난 WIL을 통해 정리해두었다. 다행히 중간발표를 거치며 나의 무지를 깨달을 수 있었고 이번 기회에 기존 작성하였던 Query 메서드들을 검토하고 리팩터링 하는 시간을 가져보고자 한다. 그간 무지하여 NativeQuery가 무조건 좋다고 알고 있었지..